k8s 인증 완벽이해 #4 - Webhook 인증

k8s 인증 완벽이해 #4 - Webhook 인증

쿠버네티스 인증 완벽 이해 시리즈 4탄, Webhook을 이용한 쿠버네티스 인증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쿠버네티스 인증 완벽 이해 시리즈

  1. X.509 Client Certs: X.509 인증서를 이용한 상호 TLS 인증
  2. HTTP Authentication: HTTP Authentication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3. OpenID Connect: Google OAuth와 같은 인증 provider를 이용한 인증
  4. Webhook 인증: Webhook 인증서버를 통한 사용자 인증
  5. Proxy Auth: Proxy 서버를 통한 대리 인증

지난 포스트에서 OpenID Connect의 Identity Provider (IdP)이라는 외부 인증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쿠버네티스에서 전달하는 Webhook 이벤트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외부 인증 시스템이라면 어떠한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확장성이 높은 Webhook 인증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OpenID Connect: oidc 표준에 따른 IdP 사용
  • Webhook 인증: Webhook 이벤트를 구현하는 임의의 인증 서버 사용

환경설정

Webhook 인증을 위한 테스트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 OS: Ubuntu 18.04 기준
  • root 권한 (sudo 권한) 필요
  • Webhook 인증서버: Flask 웹서버
  • 쿠버네티스 설치툴: kubeadm

Webhook 인증

Webhook이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사전에 정의된 웹 URL로 이벤트 정보와 함께 요청을 보내어 후속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고안된 체계이죠.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도 인증 처리를 위한 Webhook을 구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존재합니다. 이때 특정 이벤트는 Authenticate 이벤트가 되고 함께 전송되는 이벤트 객체(정보)는 사용자가 전송한 토큰이 됩니다.

Webhook 인증 서버

아래의 이미지는 쿠버네티스 Webhook 인증 순서도입니다.

  1. 사용자가 Bearer token으로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게 인증을 요청합니다.
  2. API 서버에서 사전에 정의된 Webhook 서버로 TokenReview라는 json 이벤트 객체와 함께 REST 요청을 보냅니다.
  3. Webhook 인증 서버에서는 자체적인 인증 솔루션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합니다.
  4. Webhook 인증 서버에서 API 서버로 TokenReview을 응답하는데 그 안에 인증결과(status)가 포함됩니다.
  5. API 서버에서 인증 결과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응답합니다.

요청: TokenReview

TokenReview라는 이벤트 객체가 어떤 모양을 가졌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kind": "TokenReview",
  "apiVersion": "authentication.k8s.io/v1beta1",
  "metadata": {
    "creationTimestamp": null
  },
  "spec": {
    "token": "$BEARER_TOKEN"
  }
}
  • spec.token: 사용자가 전송한 Bearer Token

간단한 json 형태의 이벤트 객체입니다.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전송한 Bearer token이 Webhook 인증 서버로 전달되어 해당 값이 유효한지 확인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토큰의 형식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Webhook 인증서버가 정의한대로 사용합니다. (jwt, plain text, HEX값 등)

응답: TokenReview + status

Webhook 인증서버에서 응답되는 데이터 형식을 살펴봅니다.

{
  "kind": "TokenReview",
  "apiVersion": "authentication.k8s.io/v1beta1",
  "metadata": {
    "creationTimestamp": null
  },
  "spec": {
    "token": "$BEARER_TOKEN"
  },
  "status": {
    "authenticated": true,
    "user": {
      "username": "user1",
      "uid": "user1",
      "groups": [ "system:masters" ]
    }
  }
}
  • status: 응답 객체
  • status.authenticated: 사용자 인증 성공 여부 (true / false)
  • status.user.username: 사용자의 이름
  • status.user.uid: 쿠버네티스에서 인식하는 식별자
  • status.user.groups: 쿠버네티스 내부 그룹 지정

Webhook 인증서버가 API 서버에게 응답해야 하는 형식은 위와 같습니다. 넘겨 받은 TokenReview 안에 status 객체를 포함시키는데 인증 성공 여부,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할 식별자 및 그룹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API 서버와 Webhook 서버간의 어떤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았는데요, 이제 어떻게 호출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API 서버 설정

사용자로부터 API 서버로 인증 요청이 들어왔을때, 해당 이벤트를 Webhook 인증서버로 보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API 서버에 --authentication-token-webhook-config-file 옵션을 추가해 줘야 합니다. 해당 옵션은 API 서버로 인증 요청이 들어왔을 때, 어디로 이벤트를 전달할지 알려주는 설정 파일이 저장된 위치를 가리킵니다.

# API 서버 설정 파일
sudo vi /etc/kubernetes/manifests/kube-apiserver.yaml
# -----[kube-apiserver.yaml]------
    - kube-apiserver
    - --allow-privileged=true
    - --authorization-mode=Node,RBAC
    # .....
    - --authentication-token-webhook-config-file=/etc/kubernetes/pki/webhook.yaml
# --------------------------------

/etc/kubernetes/pki/webhook.yaml 설정 파일의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까지 봐온 KUBECONFIG ($HOME/.kube/config) 파일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etc/kubernetes/pki/webhook.yaml
apiVersion: v1
kind: Config
clusters:
- name: flask-auth
  cluster:
    server: <WEBHOOK_SERVER_ADDR>   # https://<ADDR>:<PORT> 형식
    insecure-skip-tls-verify: true  # tls 설정 disable
users:
- name: kube-apiserver
contexts:
- context:
    cluster: flask-auth
    user: kube-apiserver
  name: auth
current-context: auth

Webhook 인증 실험

이제 실제로 Webhook 서버를 구축하여 정상적으로 쿠버네티스 인증이 처리되는 확인해 봅시다.

Webhook 인증 서버 구축

간단한 웹 서버 구현을 위해 flask를 설치합니다.

# flask 설치
pip install flask

다음과 같이 간단한 Webhook 인증 서버를 app.py 파일로 만듭니다.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import pprint

app = Flask(__name__)


@app.route('/', methods=['POST'])
def auth():
	# API 서버로부터 TokenReview 수신
    tokenReview = request.json

    # 인증 결과 (하드코딩)
    status = {}
    status['authenticated'] = True
    status['user'] = {
    	'username': 'alice',
    	'uid': 'alice',
        'groups': ['system:masters']
    }

    # TokenReview에 인증결과 객체 삽입
    tokenReview['status'] = status
    pprint.pprint(tokenReview)

    # API 서버로 json 응답
    return jsonify(tokenReview)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 '0.0.0.0', port=5000, debug=True)

  • status.authenticated: 항상 true
  • status.user.username: alice
  • status.user.uid: alice
  • status.user.groups: ['system:masters']

Webhook 서버를 실행합니다.

python app.py
# * Serving Flask app "app" (lazy loading)
# .....
# * Running on http://0.0.0.0:5000/ (Press CTRL+C to quit)

--authentication-token-webhook-config-file 설정 파일에서 Webhook 서버 IP:PORT로 수정합니다. 예시에서는 API 서버와 동일한 호스트에서 Webhook 서버가 실행되므로 127.0.0.1을 입력하였습니다.

# /etc/kubernetes/pki/webhook.yaml
apiVersion: v1
kind: Config
clusters:
- name: flask-auth
  cluster:
    server: https://127.0.0.1:5000
    insecure-skip-tls-verify: true
users:
- name: kube-apiserver
contexts:
- context:
    cluster: flask-auth
    user: kube-apiserver
  name: auth
current-context: auth

모든 세팅이 완료 되었습니다.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 아무 토큰으로 요청을 보내 봅시다. (하드코딩으로 항상 인증이 성공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토큰값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kubectl get pod -n kube-system --token mytoken
# 성공!

외부 인증 시스템 연동

Webhook을 이용한 인증의 장점은, LDAP 인증, DB 조회 등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인증 방식도 Webhook 서버를 통하여 연동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Webhook 서버가 마치 Glue 컴포넌트가 되어 두 시스템간 컨버터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죠. (LDAP entity <– Webhook –> TokenReview)

이번 실험에서는 외부 HTTP Basic Auth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 인증 시스템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Basic Auth 경우, 직접적으로 쿠버네티스 인증 방식으로 제공하지만 외부 인증 시스템을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외부 Basic Auth 서버

아래와 같이 URL을 호출시, URL PATH에 사용한 User, Password를 HTTP Basic Authentication 정보로 전달해야 하는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https://httpbin.org/basic-auth/<basic-user>/<basic-password>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URL을 호출하면, User에 user1, Password에 pass1을 HTTP Basic Auth로 넘겨줘야 합니다.

curl -v https://httpbin.org/basic-auth/user1/pass1
# HTTP/2 401 Unauthorized
# WWW-Authenticate: Basic realm="Fake Realm"

curl -v -H "Authorization: Basic $(echo -n user1:pass1 | base64)" https://httpbin.org/basic-auth/user1/pass1
# HTTP/2 200
{
  "authenticated": true,
  "user": "user1"
}
외부 인증 시스템과 연동

위와 같은 외부 인증 시스템을 Webhook과 연동해 보겠습니다.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import pprint
import requests
from requests.auth import HTTPBasicAuth

app = Flask(__name__)


@app.route('/', methods=['POST'])
def auth():
    tokenReview = request.json

    # 인증 결과 (외부 인증)
    tokenReview['status'] = external_auth(tokenReview)
    pprint.pprint(tokenReview)

    # API 서버로 json 응답
    return jsonify(tokenReview)

# 외부 인증 시스템
def external_auth(tokenReview):
	try:
        user, pw = tokenReview['spec']['token'].split(':')
        ret = requests.get('https://httpbin.org/basic-auth/user1/pass1', auth=HTTPBasicAuth(user, pw))

        status = {}
        status['authenticated'] = ret.status_code == 200
        status['user'] = {
            'username': user,
            'uid': user,
            'groups': ['system:masters']
        }
    except:
    	status = {}
    	status['authenticated'] = False

    return status


if __name__ == '__main__':
    app.run(host= '0.0.0.0', port=5000, debug=True)

def external_auth(tokenReview): 함수에서 사용자로부터 전달 받은 토큰을 이용하여 외부 인증 시스템에 Basic Auth 형태로 인증 요청합니다. 외부 인증 시스템에서 응답한 결과를 가지고 쿠버네티스 API 서버에게 인증 결과를 다시 전달합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토큰을 이용하여 인증 요청을 합니다. (Basic Auth 형식을 빌렸을 뿐, 실제 요청은 Bearer Token으로 요청해야 합니다.)

kubectl get pod -n kube-system --token user1:pass1
# 성공!

kubectl get pod -n kube-system --token user1:pass2
# 인증 실패

마치며

예시에서는 간단한 Basic Auth 외부 인증 서비스를 사용하였지만 Webhook 서버를 이용하면 거의 모든 인증 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는 엄청난 유연함을 가질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이런 Webhook 인증을 이용하여 쿠버네티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인증 체계를 쉽게 확장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각 클라우드 서비스의 완전 관리형 쿠버네티스 서비스인 EKS, AKS, GKE들도 전부 이 Webhook을 이용하여 각 플랫폼에 맞게 인증을 수행합니다. (AWS IAM, Azure AD 등)

이번 포스트에서는 쿠버네티스 인증의 끝판왕, Webhook 인증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대리 인증 방식인 Proxy Authentication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